본문 바로가기

summary/Medium 해석

로보어드바이저

https://blog.usejournal.com/robo-advisors-4a44608164eb

 

Robo Advisors

The New Age of Financial Advice

blog.usejournal.com

The New Age of Financial Advice 금융 자문의 새 시대

written by Rob sudakow (CEO of RevUP Consulting Revenue Management for Hospitality.)

 

 

Movement in mass has been seen in recent years toward convenience and automation in almost every industry. It should in no way be a surprise that this trend has spread to the Financial Advisory industry as new emergent technology is opening up the financial market to a much larger subset of underserved individuals. (···)

The beauty of Robo Advisors is the ability to allow those of us with an average net worth to enter the market in a meaningful way by bypassing the hurdles set forth by the financial industry and the hurdles we put in place in our heads.

 

최근 몇 년간 거의 모든 산업에 걸쳐 편의성과 자동화에 대한 대중적 움직임이 보였습니다. 새로 출현한 기술이 금융 시장이 많은 소외된 사람들(underserved individuals)에게 개방했기 때문에 이러한 유행이 금융 자문업까지  확산된 것이 놀랄 일은 아닙니다. (···)

로보어드바이저의 아름다움은 평균 순자산을 가진 사람들이 금융업계와 우리 스스로가 놓은 허들들을 우회해 의미있는 방식으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입니다. 

 

 

This movement to automation and the potentially low cost and low investment thresholds opens up an untapped market for the financial industry. While Robo Advisors have the ability to be both a low end disruption and sustaining innovation the initial target audience is expected to be smaller investors hungry to get into investing for any number of reasons but do not have the means or confidence to work with a large financial advisor.

 

이러한 자동화 움직임에 더불어 잠재적으로 낮은 비용과 투자 진입장벽으로 금융산업에 미개척 시장이 열렸습니다. 로보어드바이저는 로엔드 파괴와 존속적 혁신을 모두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음에도, 초기 타겟층은 여러이유로 투자에 굶주렸지만 대규모 금융 어드바이저와 같이 일할 수단이나 자신이 없는 소규모 투자자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로엔드 파괴(Low end disruption) & 존속적 혁신(Sustainable innovation)?

더보기

로엔드 파괴 : 소비자의 욕구를 해소 시키는 저렴한 제품의 등장을 의미합니다. (예시: 샤오미의 저가 전략)

존속적 혁신 : 기존의 제품을 더욱 개량시키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예시: 갤럭시S 시리즈)

로엔드 파괴, 존속적 혁신 모두 Clayton M. Christensen의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 Theory)에 등장하는 용어입니다. 위의 사진은 기존 시장이 어떻게 파괴되는지 보이는지 설명합니다. 뒤 쪽 plane은 기존 시장을 의미합니다. 이 plane의 빨간 선은 기존 시장에서 선도기업들이 기술개발을 하는 그래프입니다. 빠른 속도로 기술개발을 해내지만, 어느 순간 high-end 고객들의 요구수준그래프를 추월하는 순간이 옵니다.(필요이상으로 기능이 좋아지고, 가격도 높아짐) 이때 low-end disruption의 기운이 태동하게 됩니다. low-end market의 고객들은 너무 복잡하고 비싼 그 상품에 대해 더 이상 감당 할 수 없게 되고, 약간 질은 떨어지지만 보통 사람들도 충분히 사용할만큼 저렴하고 사용하기 쉬운 상품이 등장하게 됩니다. 이것이 low-end market을 겨냥한 disruptive innovation입니다. 그 다음으로 disruption이 일어날 수 있는 곳은 앞쪽 plane으로 나타나는 new market입니다. 기존에 이 상품을 사용하고 있지 않던 소비자군을 끌어들이는 것이죠.

컴퓨터 시장을 보면 이 disruptive innovation의 사례가 잘 드러납니다. 초기 PC시장이 나타나는 시기, mainframe computer와 mincomputer들을 만들던 회사들은 Apple이나 IBM같은 PC회사에 의해 망했습니다. 왜? PC를 만들지 않았기 때문에. 왜 PC를 만들지 않았느냐? 기존 회사들 입장에서는 만들 이유가 없습니다. 더 빠른, 더 정확한 메인프레임컴퓨터를 만들면 PC한대 만들어서 파는 것보다 수십배의 이익을 낼 수 있는데 굳이 그럴 이유가 없죠. 그리고 그들이 보기에는 태동하는 PC시장은 애들 코묻은 돈 뜯는 것 밖에 안되어 보였겠죠. PC는 기존에 컴퓨터에 접근이 어렵던 일반소비자에게 어필했고(new-market disruption) 성능이 점점 좋아지면서 메인프레임컴퓨터까지 따라잡아버렸습니다. 이건 new-market disruption인 동시에 low-end market disruption의 사례가 될 수 있을 듯 하네요.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XfYC&articleno=25

 

For many interested in investment current financial institutions to not provide answers to the jobs that need to be done from the average persons perspective. Robo Investors are set up to address both the cost and thresholds hindering individuals of moderate income from entering the market and work to. While this new set of high-tech algorithm based advisors need to address the functionality of servicing the clients need to grow wealth, they can also address the emotional hurdles attached to the wealth industry. Acknowledging this emotional aspect of the jobs to be done and working to alleviate consumer fears through education and trust will help differentiate Robo from traditional investment firms.

 

투자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 현재 금융기관은 일반인 관점에서 해야할 일에 대한 답을 주지 않습니다. 로보투자자들은 적정 소득을 가진 개인들이 시장에 진입해서 일하는 데 걸림돌이 되는 비용과 한계를 모두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 새로운 첨단 알고리즘 기반 자문가들은 고객이 부를 키우는데 필요한 서비스 기능을 다뤄야하지만, 부 산업(wealth industry)에 부착된 감정적인 허들들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업무의 감정적 측면을 인정하고 교육과 신뢰를 통해 소비자의 두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노력하면 투자회사와 Robo를 차별화하는데 도움될 것입니다.   

 

 

Lets be honest those of us of moderate financial means face a mindset block more so than a capital investment block. Thresholds have been reduced enough by many mainstream firms to at least get your foot in the door but who wants to expose themselves and their finances to an advisor. Our finances much like our religion is something highly personal and kept close to the chest. Yet we don’t necessarily have the time and market understanding to go at it alone in a meaningful way. In step Robo Advisors, we have all become accustomed to “algorithms” in our daily vehicular and have grown to accept if not trust them. So, if these new tech companies can address the traditional jobs to be done by Financial Institutions and advisors while overcoming the emotional and educational hurdles that are often lacking in financial advising why wouldn’t this become a significant disruptive technology in finance and potentially level the playing field allowing the average person to enter the market. If the Robo Advising industry can incorporate some of the aspects that keep individuals from playing in the market there is great potential on multiple levels.

 

솔직히 말해서, 적당한 금융 수단을 가진 사람들은 자본 출자보단 마음가짐에서 오는 어려움에 더 직면해 있습니다. 주류회사들에 의해 여러분이 발 들이기 충분하게 진입장벽이 낮아졌지만, 누가 자신의 재정상황을 자문가에게 노출시키기를 원할까요. 재정은 마치 종교처럼 매우 개인적이고 비밀스럽습니다. 하지만 이제 의미 있는 방식으로 이를 혼자 처리할 시간과 시장이해력이 반드시 있어야 하지 않습니다. 로보 어드바이저 단계에서, 우리 모두는 매일 차량의 "알고리즘"에 익숙해졌으며 믿지못하면 받아들이도록 성장했습니다. 그러므로 만약 신기술 회사들이 금융기관 및 자문가들이 기존에 했던 일을 처리하고 감정적이고 교육적인 허들을 극복한다면 금융 조언이 조금 부족할지라도 파괴적인 기술이 될 것이며(low-end disruption!) 일반 사람도 시장에 참여할 수 있게함으로써 균등한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만약 로보어드바이징 산업이 시장에서 개인들이 활동하지 못하게 하는 몇가지 측면을 통합할 수 있다면 여러 수준에서 큰 잠재력이 있습니다. 

 

 

In my class on Disruptive strategy these “hurdles” are referred to as “jobs to be done”

 

Some of these Jobs in Robo Advising include:

· Using education to ease the fear and uncertainty of entering the market with the goal of disrupting the intimidation may feel in speaking with a financial advisor.

· Explaining the algorithm used in simple terms to create an understand and offer transparency that the average individual is comfortable with.

· Set the algorithm to gain understanding of individual clients needs and goals while also helping to manage risk.

· Offering clear data on market changes and individual investments changes as the market changes.

· And finally ensure a system that is cost effective while showing higher than average market growth.

 

파괴 전략에 대한 제 수업에서는 "허들"을 "해야할 일"이라고 부릅니다.

 

로보어드바이저가 해야할 일 중 몇가지는:

 

- 금융 자문가와 말하면서 느낄 불안함을 없앨 목적으로 교육을 통해 시장 진입에 대한 공포와 불확실성을 완화하는 것.

- 이해와 투명성을 제공하기 위해 간단한 용어로 알고리즘을 설명해서 일반인들이 편안하게 느끼도록 하는 것. 

- 개별 고객의 니즈와 목표를 이해하고 리스크 관리를 도와주도록 알고리즘 설정.

- 시장 변화에 따른 시장 변화 및 개별 투자 변화에 대한 명확한 데이터 제공.

- 마지막으로 평균 시장 성장률을 상회하는 높은 비용 효율성의 시스템 보장.

 

 

Building trust with smaller accounts will lead potentially to financial growth for clients and overall long-term profitability of smart Robo Advisors. This natural growth of our client’s finances will in turn allow Robo Advisors to grow offerings and expand further eventually creating an all-encompassing financial tool integrating data from credit reports, bank accounts, debt management including student loans and cc dept and helping clients to reassess investment strategy along with short and long term goals.

 

소규모 계정과 신뢰를 쌓는 것은 잠재적으로 고객의 재정 성장과 스마트 로보어드바이저 전반의 장기적 수익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고객 재정의 자연적 증가는 로보어드바이저의 오퍼링을 늘리고 더욱 확장할 수 있게할 것이며 결국엔 신용정보, 계좌, 학자금 대출와 카드빚 등의 대출 관리를 통합하여 포괄적 금융 도구를 만들고 고객이 장단기적 투자 전략을 검토하는 것을 도울 것입니다. 

 

 

Currently there are 7 to 8 major Robo players in the market such as Betterment, WealthFront and WiseBanyan which all have worked to differentiate from the major incumbents in the market. Robo advisors have already moved the entire market in favor of individual low threshold investors as the incumbents are not moving upmarket but embracing the lower end and also working to attract mid-market clients with lower fees and investment thresholds. While many will still prefer human interaction (surprisingly studies show that millennial's are more trusting of human investors than Robo Advisors) these new companies are opening doors that were not as readily available to the main stream and have helped push the status quo to lower thresholds allowing more people to invest outside of their 401K’s

 

Betterment, WealthFront와 WiseBanyan 등 시장에는 7~8개의 주요 로보플레이어들이 있으며 모두 시장의 기존 기업들과 차별화하기 위한 노력을 해왔습니다. 기존 사업자들이 고급시장이 아닌 로우엔드를 수용하고 수수료와 투자 문턱이 낮춰서 중간시장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로보 어드바이저는 개인 저임계 투자자들에게 유리하게 이미 시장 전체를 움직였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많은 사람들은 인간적인 상호작용을 선호할 것입니다. (놀랍게도 연구결과에서 밀레니얼 세대가 로보 어드바이저보다 인간 투자자들을 더 많이 신뢰한다는 것이 나타났습니다.) 이 새로운 회사들은 주류가 쉽게 이용할 수 없었던 문을 열고 있으며, 401k(연금보장대책)를 벗어나 더 많은 사람들이 투자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summary > Medium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MVC(Model-View-Controller)를 음료 주문에 비유하기  (0) 2020.04.29
SDN이란?  (0) 2020.04.29
왜 블록체인은 어려울까  (0) 2020.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