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economy

"자본주의가 영국에서 시작된 이유" 정리

자본주의가 영국에서 시작된 이유

 

 

"시작"

인클로져 운동*으로 농업생산성이 높아진 영국,

근대적인 계약관계가 성립되고 인구가 증가한다.

 

*인클로저 운동(Enclosure)

더보기

*인클로저 운동(Enclosure)은 목축업의 자본주의화를 위한 경작지 몰수로, 소유 개념이 모호한 공유지(共有地)나, 서로 간의 경계가 모호했던 사유지 간에 양이나 가축이 도망가지 못하게, 혹은 자신의 소유권을 명확히 하기 위해 울타리를 쳐서 자신의 영역을 확인하고 자산으로 만들었다.고용주와 노동자의 관계가 보편화되고, 임금노동자가 된 농민들은 주로 부농에게 고용되거나, 아니면 농촌의 수공업이나 상업등에 종사하게 되면서 농촌에서의 직업분화를 촉진시켰다. [위키백과, 나무위키]

 

"영국 귀족제도의 특수성"

다른 유럽국가와 달리 영국의 귀족제도는 장자에게만 작위가 수여되었다.

(둘째, 셋째 = 상류층ㅇㅇ 귀족ㄴㄴ)

더군다나 장미전쟁*으로 귀족 가문의 숫자는 현저히 줄어들었다.

 

*장미전쟁

더보기

*장미전쟁은 중세 잉글랜드 왕국에서 벌어진 내전. 중세 잉글랜드의 요크 가문과 랭커스터 가문 사이에 벌어진, 왕위계승권 획득을 위한 내전하지만 장미 전쟁의 경우 모든 귀족이 직접적으로 참전해야 하는 싸움이다보니 장미 전쟁이 종료되어 헨리 튜더(헨리 7세)가 국왕으로 즉위할 때까지 살아남은 귀족 가문은 전쟁 전의 3할에 불과했다. [나무 위키]

 

"젠트리 탄생"

그 결과, 귀족은 아닌 상류층 "젠트리" 가 탄생한다.

이들은 작위는 못가졌지만 토지를 소유한다.

게다가 헨리 8세의 종교개혁으로 인해 카톨릭 소유의 토지들을 젠트리들이 대거 매입하게 된다.

젠트리의 지지로 종교개혁*이 무난하게 진행된다.

 

*잉글랜드의 종교개혁

더보기

*잉글랜드의 종교개혁은 1534년에 영국의 헨리 8세가 영국 교회를 로마 치하에서 독립시켜 영국 국교회로 국가교회화한 것을 말한다. 헨리는 수장령을 발표하여 그는 왕이 '정당하고 적법하게' 교회의 수장임을 주장하였다. [위키 백과]

 

"젠트리의 성장"

그 결과 젠트리는 작위는 없지만 지배계급으로 성장한다.

수많은 중소영주들이 특권층의 견제세력으로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젠트리는 영국 자본주의 성립의 기초가 된다.

 

왜? 특정 계층으로 쏠린 부의 편중은 자본주의 발전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부의 독점을 위해 귀족계층과 상업자본은 특권을 유지하고자 절대 왕정과 결탁하여 중앙집권을 강화하려한다.

하지만 부가 젠트리에게 분산되었고,

넓고 얇게 포진했지만 여전히 지배계층인 젠트리는 귀족과 왕권에 대한 강력한 견제세력이 된다.

 

즉,

영국에서 명예혁명이 일어나서 권력 지형의 변화가 생긴 것이 아닌

이렇게 특이한 계급 구조 때문에 명예혁명이 일어난 것이다.

 

"힘의 균형"

농민 졸부 = "요먼"

젠트리 말고도 성공한 자영농으로 요먼 계급이라는 것이 존재했고,

피지배계층으로서 젠트리의 견제 세력이 된다.

귀족-젠트리-요먼 힘의 균형이 생겼다.

 

"시장형성의 발단"

젠트리는 의회를 통해 동인도회사의 독점권을 무력화 시키는데,

결과적으로 식민지 경영과 무역으로 벌어들인 부가 특권층에게 축적되지 않고, 

막대한 투자자산으로 시장에 풀리게 된 것이다.

 

민주주의에 의한 현상은 아니고,

자신들의 권리를 관철시키기 위한 왕권 견제였다.

 

민주주의를 위한 노력보단

명예혁명이후 지배층과 왕권의 힘겨루기 안에서 일어난 타협인 것이다.

 

"경쟁시장"

이렇게 대영주가 아닌 많은 수의 중소영주 젠트리가 사회 지배층이 되었다.

권력이 독점화되고 사유화되지 못했다.

이로인해 젠트리간의 수익 경쟁이 시작되고,

일잘하는 농민은 높은 임금을 주고서라도 고용하게 되면서 노동착취현상은 줄어들 수 밖에 없었다.

 

즉, 노동자의 임금수준이 유럽 평균보다 훨씬 높았다.

또한, 통화 가치와 물가도 안정적

도시-농촌 노동자의 임금격차도 낮음

소득분배가 안정적

 

"산업혁명의 배경"

젠트리는 경제적인 노동력 활용을 위해

수익을 더 올리고자 했고, 이는 산업혁명의 주요요인으로 작용한다.

왜?

지배 계급이 피지배계급을 착취할 수 없다면

이윤을 극대화할 방법은 투자시장 밖에 없다.

게다가 면직물 대량생산을 소비할 (내부)시장이 존재했다.

 

정리하자면,

높은 소득을 가진 대중 시장의 형성으로 

젠트리계급,지배 계급은 적극적으로 이윤추구를 하게 되었다.

식민지배로 벌어들인 막대한 부는 투자자본이 되었고,

이 자본이 투입되어 대량생산된 면직물을

높은 소득을 가진 대중 시장에서 대부분 소비했다.

이것이 영국에서 자본주의가 출발한 핵심이다.

 

"마무리 : 자본주의 경제 체제가 확립&유지되려면,"

사치품에 대한 소비를 위해 피지배계급를 착취하게 되면

생산자, 자본가 집단이 형성될 수 없다.

 

설령 지배층이 수익 극대화를 위해 생산 효율을 증대시키고

품질 경쟁에 나선다 한들

소비 시장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자본주의 경제 체제는 확립될 수 없다.

 

대중의 구매력이 뒷받침되는 시장과

그리고 이를 타겟으로 적극적 생산 활동울 할 수있는 광범위한 생산계층(젠트리와 같은 상류층)이

고리를 이루고 있어야 작동하게 된다.

 

내수 시장의 수요는 소득이 뒷받침 되어야하고,

(자유 무역이 이뤄지지 않았던 그 시절) 내수 시장이 없었다면 기업은 가격 경쟁과 기술 경쟁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ref : https://www.youtube.com/watch?v=guSut47CGd4&list=LLtXB2g2WiNXkMRGISWjuTcA&index=2&t=0s